모차르트나 베토벤의 음악을 들으면 잔잔하고 아름다운 선율에서 종종 진한 고통의 시간이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그러면 그 고통을 환희로 만든 오랜 시간의 숙성을 생각하지요. 온몸을 전율시키는 마술을 피와 살결로 생각하지요.
누구나 자신의 삶에서 “산 채로 벼락을 맞는” 것 같은 충격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 아픔은 당장은 몸과 마음을 파괴할 것입니다. 시나 예술에는 그 아픔을 오랫동안 숙성시켜 환희로 바꾸는 마술적인 힘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 경험을 해본 사람만이 돌처럼 단단하게 말라 죽은 나무에서 “빛이 뭉클” 만져지는 체험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죽은 나무에서 “아는 얼굴”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고통의 극점에서 벼락 같은 빛이 지나가 겉은 망가졌으되 내면은 밝아진 바로 그 얼굴이겠죠.
-2010.11.01 문학집배원 김기택
박라연, 「고사목 마을」
피를 빛으로 바꾼 듯
선 자리마다 검게 빛났다
아는 얼굴도 있다
산 채로 벼락을 몇 번쯤 맞으면
피를 빛으로 바꾸는지
온갖 새 울음 흘러넘치게 하는지
궁금한데 입이 안 열렸다
온갖 풍화를 받아들여 돌처럼
단단해진 몸을 손톱으로 파본다
빛이 뭉클, 만져졌다
산 자의 밥상에는 없는 기운으로
바꿔치기 된 듯
힘이 세져서 하산했다
1951년 전남 보성에서 태어났으며, 1990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작품활동 시작. 시집으로 『서울에 사는 평강공주』『공중 속의 내 정원』『우주 돌아가셨다』 등이 있음. 윤동주상 문학 부문을 수상함.
낭송/ 박신희
성우. <주말의 명화> <과학수사대CSI>
출전/『빛의 사서함』(문학과지성사)
음악/ 심태한
애니메이션/ 정정화
프로듀서/ 김태형
<문학집배원> 사업은 문학과 멀어진 국민들이 우리 문학의 향기를 더욱 가깝게 느끼며 문학적 감수성을 계발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독자들이 문학을 좀더 쉽고 가깝게 만나고 삶의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사업입니다.
지난 2006년 5월 8일 도종환의 시배달로 시작하여, 현재는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주2회) 신청하신 분의 이메일로 시와 문장을 발송해드리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사업 안내와 <문학집배원> 신청은 사이버문학광장 문장 홈페이지(letter.munjang.or.kr)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문학 집배원 > 시 배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배달] 김경미, 「오늘의 결심」 (낭송 김경미) (0) | 2010.11.17 |
---|---|
[시배달] 곽효환, 「지도에 없는 집」 (낭송 정인겸) (0) | 2010.11.08 |
[시배달] 정철훈, 「병사들은 왜 어머니의 심장을 쏘는가」 (낭송 정철훈) (0) | 2010.11.01 |
[시배달] 김광규, 「나」 (낭송 박은숙) (0) | 2010.10.21 |
[시배달] 문혜진, 「독립영양인간 1」 (낭송 문혜진) (0) | 2010.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