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배달] 김혜순, 「잘 익은 사과 」 (낭송 문지현) 크고 잘 익은 햇사과를 사각사각 깎고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사과에서 “백 마리 여치가 한꺼번에 우는 소리”, “자전거 바퀴가 치르르치르르 도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지 않나요? “천 년 동안 아가인 사람의 냄새”가 나는 것 같지 않나요? 둥글게 둥글게 껍질 깎이는 자리가 자전거타고 상쾌하게 지나가는 좁고 구불구불한 시골길 같지 않나요? 시는 말로 되어 있고, 그 말은 사물을 닮은 가짜이지만, 시인의 욕망은 독자에게 ‘사과’라는 말이 아니라 진짜 사과를 주는 것. 그러므로 이 시를 즐기려면 사과라는 '말'을 버리고, 눈과 코와 귀의 감각을 최대한 확장시켜야 합니다. 그러면 둥글게 깎이는 작은 사과가 자전거를 타고 가는 내 “고향 마을만큼 큰 사과”로 바뀌는 마술을 체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010... 더보기 [시배달] 문정희, 「흙」 (낭송 문정희) 흙에서 어떻게 울음소리가 들릴까요? 내주기만 하고 대가를 바라지 않는다는 점에서, 흙은 어머니를 닮았습니다. 열매와 짐승과 사람에게 다 퍼주고도 밟히기만 한다는 점에서도, 그들의 똥오줌을 받아내 제 안에서 삭히기만 한다는 점에서도, 흙은 어머니를 닮았습니다. 이 시인은 어머니이기 때문에 흙이라는 이름에서 “흙 흙 흙” 하는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고, 심장 깊은 곳에서 차오르는 눈물냄새를 맡을 수 있는 겁니다. 제 몸의 양분과 정기를 씨앗에게 부어 아이를 낳고, 제 몸과 영혼을 팔아 아이를 기르고도, 받을 것은 거의 없고 줄 것은 많이 남은 어머니이기 때문에. 2010. 5. 3. 문학집배원 김기택 문정희, 「흙」 (낭송 문정희) 흙 문정희 흙이 가진 것 중에 제일 부러운 것은 그의 이름이다 흙 흙 흙 하.. 더보기 문화체육관광부 소속기관 및 예술단체 조기대관 및 조기공모사업 신청 안내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 지방문예회관 특별프로그램 지원 사업 - 우수공연 소외지역 학교파견 사업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 전통예술 복원․ 재현 사업 - 전통연희 활성화 사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공연예술 창작기금 지원 사업 - 공연예술 전용공간 지원 사업 - 공연예술행사 지원 사업 - 지자체 공연예술활성화 지원 사업 예술경영지원센터 - 공연예술 글로벌역량강화 사업 - 전통예술해외레지던시(우수프로젝트)지원 사업 - 공연예술행사 지원 사업(관광기금) 더보기 이전 1 ···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