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권기금 문화나눔 수기&현장사진 공모 더보기
[문장배달 Best 20] 이문구,「우리 동네 김씨」 (낭송 양말복, 최경원) 가능한 한 천천히 읽어보십시오. 천천히 듣고 천천히 씹으십시오. 사투리를 몰라도 상관없습니다. 뜻을 다 몰라도 상관없습니다. 우리말이 얼마나 맛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고샅길 한구석에 조용히 피어 있는 민들레 같은, 동네 입구에 수굿이 서 있는 가래나무 같은 이런 한 대목이 우리 문학을 깊게 하고 힘있게 합니다. 굳이 외국의 문학과 견주어 잘났다 못났다 할 필요가 없음을 느끼게 합니다. 문학은 국민(한 언어권에 속한 모든 사람이니 어민이라고 할까요) 모두의 자산입니다. 이런 문학을 가진 어민은 결코 가난하지 않습니다. 2007. 5. 17 문학집배원 성석제 이문구,「우리 동네 김씨」 (낭송 양말복, 최경원) 대강 정돈이 된 듯하자 면직원은 부면장을 돌아다보았다. 매양 그랬듯이 부면장은 뒤에서 서서 잇긋도.. 더보기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우리 아파트에서 놀 사람 여기 붙어라! 우리 아파트에서 놀 사람 여기 붙어라! 최주희 (등촌 주공아파트 11단지 거주) 내가 어릴 때부터 결혼하기 전까지 살았던 친정집은 조그마한 단독주택이었다. 내가 초등학교 2학년 때 아빠께서 손수 지으신 그 집은 우리 동네에서 제일 멋지고 좋은 집이었다. 적어도 내가 보기엔... 학교를 마치고 골목길에서 “우리 집에서 놀 사람 여기~여기 붙어라!”하고 엄지손을 치켜세우면 아이들이 나에게로 뛰어와 내 엄지손가락 위로 차례차례 손가락 탑을 쌓아 올렸던 기억이 난다. 그러면 나는 아이들 모두를 우리 집으로 데려와 신나게 놀곤 했었다. 그 때는 거실 옆에 붙어있는 입식 주방도, 수세식으로 된 화장실도 나에게는 크나큰 자랑거리였다. 학교를 마치면 모두들 나와 함께 다방구며 ‘꼼꼼히’, ‘얼음땡’, ‘무궁화 꽃이 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