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배달] 안도현「가을의 소원」 (낭송 안도현) 벌써 바람에서 마른 풀냄새 같은 게 묻어오는 듯 합니다. 봄과 여름이 성장을 향해 있다면, 가을은 생명의 포물선이 한풀 꺾이면서 소멸을 향해 기우는 계절이지요. 그래서인지 시인의 소원 또한 단출하고 담박합니다. 하지만 다시 생각해보면 이 소원들 중 어느 것 하나 손쉽게 이룰 수 있는 게 없군요. 도시에 살면서 온전한 적막과 게으름은 꿈도 꾸기 어려워졌고, 소낙비를 흠씬 맞거나 혼자 울어본 지도 언제였는지 까마득하기만 합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침묵할 줄만 안다면 그는 충분히 아는 것”이라는 외국 속담처럼, 가을은 아무 것도 모르고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마침내 아무 것도 아닌 존재가 되기에 더없이 좋은 때입니다. 2008. 9. 1. 문학집배원 나희덕. 안도현「가을의 소원」 (낭송 안도현) 가을의 .. 더보기
[시배달] 손택수, 「스프링」 (낭송 권지숙) 스프링. 몸을 배배 꼬며 웅크렸다가 일시에 반동을 이용하여 솟구치는 힘. 제 몸보다 크고 무거운 수레를 끌려면, 제 몸무게보다 훨씬 큰 삶의 짐을 감당하려면, 스프링의 탄력을 위해 먼저 제 몸을 움츠려야 하지요. 수레 끄는 사내와 미는 여자가 비틀려 흉한 모습이 된 이유는 제 안의 반동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몸을 한껏 웅크렸기 때문입니다. 지금 이 순간 내가 몹시 힘들고 위축되어 있다면 그것은 스프링이 한껏 움츠린 상태이기 때문인지 모릅니다. 내 주변의 누군가가 무능하거나 보잘것없는 것 같이 보인다면 자신의 스프링을 최대한 움츠리고 있기 때문인지 모릅니다. 누구에게나 스프링의 놀라운 탄력이 감춰져 있습니다. 2010.10.04 문학집배원 김기택 손택수, 「스프링」 (낭송 권지숙) 스프링 손택수 사내가 수레.. 더보기
[시배달] 박형준, 「사랑」 (낭송 이진선) 안타깝게도 이 '사랑'은 추억과 상상 속에서만 활발하군요. 헤엄치는 오리떼를 보면서 시인은 홍조가 도는 그녀의 맨발을 어루만지기도 하고 오리처럼 힘차게 날아가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 사랑은 단지 '하고 싶다'는 말 속에만 있습니다. 현실에서 시인은 사랑을 "뒤뚱거리며 쫓아가는 못난 오리"일 뿐이며, 그래서 "맷돌보다 무겁게 가라앉는 저녁해"처럼 우울합니다. 그러나 짝사랑에도 장점은 있어요. 연애 비용이 들지 않아 경제적입니다. 쉽게 변질되지 않아 순수성이 오래 유지됩니다. 상상만 하면 바로 현실이 되니까 실패 없이 내 마음대로 할 수 있습니다. 그러고 보니 시는 짝사랑과 공통점이 참 많네요. 2010.09.27 문학집배원 김기택 「사랑」 (낭송 이진선) 사랑 박형준 오리떼가 헤엄치고 있다. 그녀의 맨발을.. 더보기